Text-level semantics의 종류들
- <br>,<wbr>
- <a href>
- <b>,<strong>
- <i>, <em>
- <abbr>
- <sup>,<sub>
- <span>
1.
<br> 과 <wbr> 은 줄바꿈 태그이다.
<br>은 원하는곳에서 줄바꿈을 할수있게 해주는것.
<wbr>은 현재 요소의 줄바꿈 규칙을 무시하고 브라우저가 줄을 바꿀수 있는 위치를 정하는 것.
2.
<a> : 앵커. 하이퍼링크를 넣을수있게 하는 태그.
<a href="경로"> 이형태로 사용함.
경로는 웹페이지 경로와 파일경로, 해시링크를 넣을수 있다.
웹페이지 경로는 웹페이지에서 이동하는것.
파일경로는 설정한 HTML로 이동하는것.
해시링크는 클릭을하면 해당 id를 가진 태그로 이동하는것. , 해시링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id값이 있어야한다.
3.
<b> , <strong>
<b> : CSS가 생기기전에 사용하던 굵은글꼴 태그이다. 이제는 사용하지 않는다.
<strong> : 굵은글꼴에 대해서 강조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태그. 막 사용하면 안됨.
4.
<i> : CSS가 생기기전에 사용하던 기울임 글꼴을 표현하는 태그. 이제는 사용하지 않는다.
<em> : 기울임 글꼴 태그. 강조하고싶을때 사용한다.
5.
<dfn> : 현재 문맥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를 나타내는 태그.
가장 가까운 부모가 <p>, <dt>, <dd>, <section> 요소이면 그 컨텐츠를 dfn의 정의로 간주한다.
6.
<abbr> : 준말, 약자를 나타내고 싶을 때 사용한다. 보통은 혼자 쓰임. 또는 dfn 태그로 감싸줌.
7.
<sup> : 윗첨자
<sub> : 아랫첨자
-> 작은글자를 표현하려고 사용하는것 아님. 화학기호나 수학공식같은곳에만 사용해야함.
8.
<span> : 의미는 없음. 줄 바꿈 없이 영역을 묶고 싶을때 사용함.
콘텐츠만을 묶을 때 사용. <div>처럼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하자.
'HTML &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7일차] Table (0) | 2022.04.05 |
---|---|
[4일차] Forms (0) | 2022.04.03 |
[3일차] Embedded contents (0) | 2022.04.03 |
[2일차] URL , IP , 포트 / HTML Living Standard / Grouping Content (0) | 2022.03.30 |
[내위주] HTML / CSS 정리 1탄 (0) | 2022.03.11 |